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엔터쪽으로 진로를 잡으려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엔터쪽으로 진로를 잡으려고 하는 학생입니다/ 궁금한 점 잇어서 남겨봐요1)원래
안녕하세요 엔터쪽으로 진로를 잡으려고 하는 학생입니다/ 궁금한 점 잇어서 남겨봐요1)원래 sm입사를 희망햇는데 이번에 사건으로 안좋게 된것 같은데 사건전이랑 후랑 달라진점이 뭔가요?2)엔터쪽으로 일을하면 어떤어떤게 잇나요?3)sm이나 하이브 같은 엔터들은 입사하기 힘든가요? 만약 입사하게된다면 안정적인가요?4)지금부터 준비 할 수 잇는 것들이 잇을까요? 5)일반고랑 특성화고 중에 어떤쪽으로 진학하는게 더 도움이될까요?6)대학은 가는게 당연히 입사에 유리하겟죠?7)그밖에 알아두면 좋은 것들질문이 많은 데 대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배관기능사, 가스기능사, 에너지관리기능사,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2급소방안전관리, 위험물안전관리
인천기계공업고등학교 배관과 졸업 48회
수원과학대학교 건축설비과 졸업 23회 92학번
경기인력개발원 전산응용건축설계과 수료 1회 97학번
본론
사무직+기술직+영업직+공장직+미화직+알바직=18년 해봄
채택이요 기부가 됨 좋은일 하심
답변: 아래 설명을 참고 하세요
엔터테인먼트 업계에 진로를 고민 중이시군요! 질문이 많으셨는데, 하나씩 차근차근 정리해서 답변드릴게요
1️⃣ SM 사건 전후로 달라진 점은?
최근 SM엔터테인먼트는 경영권 분쟁과 내부 갈등 등으로 이슈가 많았어요. 사건 전후로 달라진 점은 다음과 같아요:
경영 구조 변화: 카카오가 최대 주주가 되면서 기존 이수만 프로듀서 중심의 체제에서 벗어났어요.
음악 방향성 변화: 기존의 SMP 스타일에서 벗어나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하고 있어요.
조직 안정성: 분쟁 이후 조직이 재정비되고 있어, 입사자 입장에서는 더 체계적인 환경이 될 수도 있어요.
하지만 SM은 여전히 국내외에서 영향력 있는 회사이고, 사건이 있다고 해서 입사 가치가 크게 떨어지진 않아요.
2️⃣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주요 직무
엔터 회사에는 다양한 부서가 있어요:
부서
주요 업무
필요한 역량
기획/제작팀
앨범, 콘서트, 콘텐츠 기획
기획력, 커뮤니케이션
신인개발팀
오디션, 연습생 관리
트렌드 감각, 분석력
A&R
음악 방향 설정, 곡 섭외
음악적 감각, 기획력
팬마케팅
팬 대상 콘텐츠 기획
팬심 이해, 마케팅 감각
매니지먼트팀
아티스트 스케줄 관리
체력, 순발력, 대인관계
경영지원/인사팀
인사, 계약, 급여 관리
책임감, 조직 이해력
3️⃣ SM, 하이브 입사 난이도와 안정성
입사 난이도: 매우 높습니다. 경쟁률이 치열하고, 관련 경험이나 포트폴리오가 중요해요.
안정성: 대형 엔터사는 비교적 안정적이지만, 연예 산업 특성상 프로젝트 중심이라 변동성이 있어요.
복지/근무환경: 워라밸은 낮은 편이고 야근이 많지만, 일에 보람을 느끼는 사람도 많아요.
4️⃣ 지금부터 준비할 수 있는 것들
관련 경험 쌓기: 팬카페 운영, 콘텐츠 제작, 공연 스태프 등
포트폴리오 제작: 마케팅 기획서, 콘텐츠 기획안 등
SNS 운영 능력: 팬과의 소통 능력은 매우 중요해요
외국어 능력: 글로벌 팬과의 소통을 위해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
5️⃣ 일반고 vs 특성화고
특성화고: 영상, 콘텐츠, 공연 관련 학과가 있다면 실무 경험을 빨리 쌓을 수 있어요.
일반고: 대학 진학에 유리하고, 진로 변경이 자유로워요.
→ 진로가 확실하다면 특성화고도 좋지만, 아직 고민 중이라면 일반고가 더 유연할 수 있어요.
6️⃣ 대학 진학은 유리할까?
유리합니다. 특히 SM, 하이브 같은 대형사는 대졸 이상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아요.
관련 전공: 문화콘텐츠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 경영학, 실용음악 등
7️⃣ 그밖에 알아두면 좋은 것들
엔터는 화려해 보여도 현실은 고강도 노동이에요. 체력과 멘탈 관리 중요!
아티스트 중심 구조라서 실무진은 보이지 않는 곳에서 많은 일을 해요.
팬심과 중립성의 균형이 중요해요. 팬이더라도 업무에서는 냉정해야 해요.
업계 트렌드 파악: K-POP, 글로벌 시장, 플랫폼 변화 등 꾸준히 공부해야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