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엘니뇨 라니냐 평상시에는 동태평양이 고기압이고 서태평양이 저기압인걸로 알고있는데 학교에서 엘니뇨 발생하면 동태평양은
평상시에는 동태평양이 고기압이고 서태평양이 저기압인걸로 알고있는데 학교에서 엘니뇨 발생하면 동태평양은 수온이랑 기온 올라가면서 저기압이 돼서 상승기류가 발달한다고 했는데 저기압이면 하강기류 아닌가요..?
고기압 저기압이다 외우지 말고 이해하세요 공기의 흐름은 평면적이 아니고 입체적이고 상대적입니다 내가 있는곳이 고기압이면 압력은 입체적으로 생기고 지표면에대하여는 막히어 있어서 사방팔방 으로 퍼져 나갑니다 빠져나가고 냉각되면 부족하게되고 사방팔방에서 채우러 밀려들어오면서 일정한 흐름이 형성됩니다 즉 상공은 상대적 고기압이 되어 하강기류가 생깁니다
평상시 지구는 자전을 하여 코리올리 효과가 늘 상존하며 적도 지방은 편동풍이 형성됩니다
이 편동풍이 해수표면에 마찰로 작용하여 해수를 서쪽으로 이동 시킵니다 강한 태양열을 받은 따뜻한 해수 표면수는 서쪽지방으로 이동 집적되고 동쪽끝 대륙에서는 빠져나간 해수공간을 채우러 해저의 차거운 해수가 올라옵니다 그리고 서쪽으로 이동하며 이동기간 내내 태양열을 받습니다 이것이 일정한 패턴입니다 이로 인하여 열이 축적되고 강수 태풍 홍수등 기상현상은 태평양 의 서쪽에서 더많이 일어납니다
이러한 흐름이 약하여 지는 때가있는데 이때를 엘리뇨가 발생했다고 하며 서쪽에는 평년보다 비가 작게오고 가뭄이 듭니다 심한경우 평년보다 많이 작게 옵니다 동쪽 대룩은 평년의 강수량보다 더 많은 강수량을 나타냅니다
해수평균 온도가 평년보다 0.4~0.5도 상승변화를 나타내면 평년의 패턴보다 더 서쪽 인도네시아 필리핀이 기상현상이 큰 라니뇨가 나타납니다
위에서 평년보다 라는 표현을 계속하여 사용 했다는 점을 인식하세요
온도 상승으로 사방팔방 팽창하며 상승기류가 발생하여 이후 안정화 되고 저기압이 되고 장시간에 걸치는 공기의 흐름이 일으나는 관성력을 갖추며 흐름의 패턴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