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고양이털 알레르기인지 먼지 알레르기인지 어떻게 구분하나요? 저희 남편이 최근 들어 재채기를 자주 해서 고양이 털 알레르기인지
저희 남편이 최근 들어 재채기를 자주 해서 고양이 털 알레르기인지 먼지 알레르기인지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알레르기의 원인을 알면 더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 같아서요. 특히 아침에 증상이 더 심한데, 병원에서 어떤 검사를 통해 알레르기 원인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검사에서 알 수 있는 정보는 무엇인지도 알고 싶어요. 알레르기가 있다면 대처법에 대해서도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원자력병원-네이버 지식iN 상담의사 한철주 입니다.
** 아래 답변은 참고용이며 질문은 받지 않습니다.
남편분의 증상이 고양이 털 알레르기 때문인지, 아니면 집먼지나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때문인지 구분하는 건 실제로 증상만으로는 쉽지 않습니다. 다만 몇 가지 힌트와, 병원에서 할 수 있는 검사 방법이 있어요.
고양이털 알레르기 vs 먼지/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구분 포인트
증상이 심해지는 시간대
아침에 심하다 → 주로 집먼지진드기 가능성이 큼. (이불, 베개, 매트리스에 집먼지진드기가 많기 때문)
고양이를 안거나 가까이 있을 때 심하다 → 고양이 알레르기 가능성이 큼.
유발 상황
청소할 때, 먼지 날릴 때 증상 → 먼지/진드기 알레르기 가능성이 높음.
고양이와 접촉하거나 고양이가 있는 방에 들어갔을 때 즉시 반응 → 고양이 알레르기 가능성이 높음.
동반 증상
두 경우 모두 재채기, 콧물, 코막힘, 눈 가려움 등이 나타날 수 있어 단순 증상만으로는 확실히 구분 어렵습니다.
병원에서 할 수 있는 검사
피부단자시험 (Skin prick test)
팔이나 등에 알레르겐(고양이 털, 집먼지진드기 등)을 소량 접촉시켜 피부 반응을 확인.
수십 가지 원인 알레르기를 동시에 검사 가능.
수분 내 반응이 나타나며, 비용도 비교적 저렴.
혈액검사 (특이 IgE 검사, ImmunoCAP 등)
특정 알레르겐에 대한 IgE 항체 수치를 측정.
고양이 알레르겐,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겐 각각 확인 가능.
혈액검사라서 약간 비싸지만 피부질환, 약물 복용 등으로 피부검사를 못 하는 경우 유용.
이 두 가지 검사를 통해 “고양이 알레르기인지, 먼지 알레르기인지, 둘 다 있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대처법
먼지/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이불·베개 진드기 차단 커버 사용
60℃ 이상 뜨거운 물로 침구 세탁
HEPA 필터 공기청정기 사용
집안 습도 40~50% 유지
고양이 알레르기
고양이를 자주 빗기고 목욕시키기 (가능하다면 다른 가족이)
HEPA 필터 청소기, 공기청정기 사용
침실에는 고양이 출입 금지
증상 심할 때는 항히스타민제, 필요 시 알레르기 전문의 상담
공통
증상이 심하거나 일상생활에 불편할 경우 알레르기 전문 진료과(알레르기내과) 방문 권장
정리하면, 남편분의 경우 아침에 증상이 심하다는 점은 집먼지진드기 가능성을 더 시사하지만, 고양이 알레르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확실히 하려면 알레르겐 검사(피부단자시험 + 혈액검사) 를 받으시는 게 가장 정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