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학교사회 과제 제발 도와주세요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학교 과제를 해야 하는데 이스라엘이랑 팔레스타인이 싸운 배경이랑 전개 상황이
학교 과제를 해야 하는데 이스라엘이랑 팔레스타인이 싸운 배경이랑 전개 상황이 궁금하고 이스라엘이랑 팔레스타인이 전쟁을 한 이후 결과가 궁금합니다 10분안에 답변 주시면 내공 많이 드리겠습니다
내공 걸지도 않았는데 무슨 내공을 준다고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배경 역사 원인
서기 70년 로마의 침략으로 나라를 빼앗기고 ‘디아스포라’가 되어 세계를 방황하던 유태인들은 드디어 1948년 꿈에도 그리던 나라를 되찾게 된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인 1947년 11월 29일 유엔 총회에서 영국의 위임통치를 받고 있던 팔레스타인 땅의 약 56%를 유대인의 국가에 주는 팔레스타인 분할을 결의했다. 아랍권이 이를 거부했지만 유대인들은 1948년 5월 14일 전격적으로 이스라엘 건국을 선포했다.
건국 당시 예루살렘은 유엔 통치 하에 두었다. 이스라엘의 독립 선포에 불만을 품은 이집트, 요르단, 시리아, 레바논, 이라크로 구성된 아랍 연합군은 독립이 선포된 지 하루도 지나지 않아 이스라엘을 침공하면서, 끝이 보이지 않는 분쟁의 서막을 올렸다. –1차 중동전
1차 중동 전쟁의 결과로 예루살렘은 ‘동예루살렘과 서예루살렘’으로 분할되었다. ‘서예루살렘’은 이스라엘, ‘예루살렘 성’이 있는 ‘동예루살렘’은 요르단의 땅이 되었다. 하지만 우리에게 6일 전쟁으로 알려진 제3차 중동 전쟁 때, 이스라엘은 선제공격으로 ‘동예루살렘’은 말할 것도 없이 ‘팔레스타인 전역’을 장악하게 된다.
이ㆍ팔 분쟁은 1차대전 기간 중 서구 식민열강이 동일한 팔레스타인 지역을 두고 실행한 모순된 전시외교 결과에 기인 합니다 ---
1차대전 기간 중 ‘팔’지역을 둘러싼 서구 열강의 모순된 세가지 약속
1916뇬 5월 사이크스-피코협정 : 영ㆍ불사이 팔레스타인 지역에 대한 분할통치 합의
1916년 6월~1918년 10월 맥마흔-후세인 서한 : 영국이 아랍의 협력을 얻기 위해 ‘팔’지역에 아랍 독립국가 창설 약속
1917년 2월 발포어 선언 : 영국이 유대자본 유치를 위해 유대인들의 민족국가 설립을 약속
국제사회 및 UN 등 국제기구들은 상기 이스라엘의 점령을 국제법 위반으로 규정하여 기나긴 분쟁역사가 시작된것입니다
국제적 합의 오슬로 협정체결’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평화협상 진행 과정 평화협상을 위한 국제적 논의의 토대
오슬로 협정 :
1993년 9월 아랍 평화이니셔티브(02, 07)ㆍ
중동평화 4자(Quartet: 美ㆍ러ㆍUNㆍEU) 로드맵(03.4) 및 아나폴리스 회의(07.11) 등 일련의 국제적 중재노력 지속
핵심내용 : 오슬로 협정은 두국가 공존하고 이스라엘의 영토 반환 및 PLO의 평화 약속 합의 입니다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67년이후 점령영토 영유권인정
△엘루살렘 이스라엘 수도인정
△난민유입반대
△67년 이전 국경으로 철수
△東예루살렘 수도의 팔 독립국가 건설
△팔 난민 귀환권 인정시 아랍권도 이스라엘 인정
자치정부만 인정
하마스는 테러조직해체요구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분리장벽 714km설치
엘루살렘 수도 지정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독립정부승인
하마스 정치 무장단체로 인정 할것
분리 장벽 철거
엘루살레 수도불인정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영토분활
image
팔레스타인' 통합정부 구성한 파타와 하마스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건설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노선의 차이 때문에 반목과 분열을 겪어 왔던 두 정파가 7년 만에 단일정부를 구성하자 이스라엘은 크게 긴장.
팔레스타인은 파타가 지배하는 요르단강 서안지구와 하마스가 장악한 가자지구로 양분되어있는데
두 정파는 2007년 6월 하마스가 파타 보안군을 몰아내고 가자지구를 장악한 이후 극한 대결을 벌여왔습니다 .
가장 큰 핵심은 714km 분리장벽으로 팔레스타인이 격리된 국가형태인데 이를 철거하여야 협상과 대화가가능하다는 점
이번전쟁의 목적은
중동지역 패권관련 문제입니다
1.국제적 환경 변화
하마스 무장정파가 이란 의 지원아래 팔레스타인 영내에 순수 이슬람국가 건설 을 시도 하든 참에
사우디 이란 양국이 협상 모드로 전환되자
사우디 이스라엘 연합으로 자칫 잘못하면 팔레스타인과 하마스는 자신들의 이슬람 국가 건설이 물건너 갈것을우려 전쟁의 도가니로 만들어 이란과 사우디 이스라엘 삼파전으로 분쟁은 하마스에게 유리하다고 판단 도화선에 불을 지핀것입니다
2.이스라엘의 반격
이스라엘은 이 참에 하마스를 시니이 반도(사막) 몰아 내고 팔 자치정부는 레바논으로 밀어 버려
명실 상부한 이스라엘 영토 내 완전 이스라엘 독립국가 건설이 목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