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계좌 만기시에 받은 목돈을 연금저축에 넣으면 세액공제 혜택이 있기 때문에 연금저축이나 irp에 넣어야 된다고 하던데... 그러면 애써 3년 모은 돈이 장기적으로 묶이는거잖아요? 그러면 isa계좌로 목돈 모은 의미가 없는거 아닌가요?
- ISA 계좌 만기 시점에 연금계좌(연금저축·IRP)로 이체하면 비과세 한도를 추가로 인정받습니다.
- 즉, ISA에서 발생한 수익에 대해 일반 과세(9.9%)를 내지 않고, 연금계좌로 옮기면 과세이연 + 세액공제 혜택까지 얹어주는 방식이죠.
그런데 말씀하신 대로 연금계좌는 중도 인출이 사실상 불가능하고, 중도 해지 시 기타소득세(16.5%)가 붙기 때문에 자금이 장기적으로 묶이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ISA의 목돈을 무조건 연금계좌로 옮기는 게 정답은 아닙니다.
1) 세액공제가 필요하고 장기 자금 운용에 부담이 없는 분 → ISA 만기금을 연금저축·IRP로 옮기는 게 유리합니다. (특히 고소득자일수록 세액공제 효과가 큼)
2) 언제든 쓸 수 있는 자금이 필요한 분→ 굳이 연금계좌로 옮기지 말고, ISA에서 인출 후 자유롭게 운용하는 게 낫습니다.
즉, ISA는 단기·중기 자금 마련용, 연금저축·IRP는 장기 노후자금용이라는 성격이 확실히 다르기 때문에, 목돈을 무조건 연금계좌로 이체해야 한다고 생각하실 필요는 없어요. 질문자님처럼 자금 유동성이 중요한 상황이라면 ISA 만기 자금을 그대로 활용하시는 것도 충분히 의미가 있습니다.
추가로, 세액공제 한도(연금저축 400만 원, IRP 포함 700만 원)를 이미 채우고 있다면 ISA 자금을 옮겨도 추가 혜택은 크지 않으니, 이 부분도 체크해 보시면 좋아요.
관련해서 연금저축·IRP와 ISA의 차이점, 실제 세금 비교 사례는 아래 블로그에서 더 자세히 다뤄놨으니 참고해 보세요.
https://www.moneysoop.com/2025/08/isa_11.html

ISA 계좌와 일반 계좌, 이렇게 다릅니다|비과세 혜택 완전 정리
재테크·부업·투자 정보, 돈이 자라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