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1 문과 이과 고민 문과이과 과목들 성적은 다 비슷비슷하고 전교권 안에 드는 정도예요원래는 경제학과
문과이과 과목들 성적은 다 비슷비슷하고 전교권 안에 드는 정도예요원래는 경제학과 간 다음에 로스쿨 갈 생각이였는데요변호사나 판검사보다 이과 쪽 간 다음에 회사원 하는게 돈을 더 많이 버나요?그리고 지금 생기부가 경제 관련된 내용으로 채워져 있는데 혹시 나중에 이과로 틀 걸 대비해서 선택과목으로 생명1 정도는 듣는게 나을까요?저희부터 내신 5등급제로 바뀌어서 고민입니당요약1. 돈 많이 벌려면 변호사•판검사보다 이과 쪽 회사원이 더 나은가요?2. 문과에서 이과로 진로 바꿀 걸 대비해서 생명1 듣는게 좋을까요?
1. 돈 많이 벌려면 변호사·판검사보다 이과 쪽 회사원이 더 나은가요?
‘최상위권 로스쿨 → 변호사 or 판검사’가 평균적으로는 더 많이 법니다.
하지만, 이과 쪽 진로(특히 IT·의공학·AI 등) 도 특정 분야에서는 변호사 못지않게 많이 벌 수 있어요.
입학 → 졸업 → 변시 → 대형로펌 합격 필요. 극소수만 가능.
로스쿨 중 상위권, 사법연수원 성적까지 좋아야 가능. 안정적.
수요는 많은데 경쟁 치열. 지역이나 전공영역 따라 다름.
실력파는 스타트업·해외 진출 시 수억도 가능. 상위권 대학+스킬 필요.
로스쿨 출신 판검사/대형로펌 → 최고소득 가능하지만 극소수입니다.
이과에서 실력 쌓고 대기업 or 기술 창업 → 고소득 가능성도 높고 더 넓은 분포를 가집니다.
2. 문과에서 이과로 바꿀 걸 대비해서 생명1 듣는 게 좋을까요?
결론: 이과 진로 고려 중이면 생1 듣는 거 강력 추천입니다. 특히 지금이 5등급제로 전환된 첫 세대라면 선택 과목의 전략적 중요성이 더 커질 겁니다.
이과 진로로 틀 경우, 생명1은 의학·생명과학·심리·간호·보건·약학 등 전공과 연결됩니다.
의예과·치의예·약학과 등도 생1 선택자 선호하고,
생1은 물리, 화학보다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고 문과생도 접근 가능합니다.
1. 돈 많이 벌려면 문과(로스쿨) vs 이과(회사원)?
▶ 평균적으로는 로스쿨 출신이 유리하지만, 이과 쪽에서 AI/개발/대기업 가면 비슷하거나 더 벌 수 있음. 진입장벽·확률 모두 고려 필요.
2. 진로 바꿀 수도 있는데 생1 듣는 게 좋을까요?
▶ 예. 이과로 변경 가능성 있다면 생1은 거의 필수에 가까움. 5등급제에서는 선택과목도 등급에 큰 영향 주니 전략적으로 유리함.